The LG Sustainability page introduces LG’s vision and efforts to create a better future for all in harmony with nature.
Role 역할
・이미지 큐레이션 & 리터칭: Sustainability 콘셉에 맞는 시각 자산을 선별/보정
・UI 디자인: 다양한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반응형 레이아웃 설계
・UX 개선: 사용자 흐름 유도, 마이크로 인터랙션 적용
・프로토타입 & 협업: Figma를 활용한 프로토타입 제작 및 모션팀과 협업
・핸드오프: 익스포트 세트, ALT 텍스트.
Project 프로젝트
프로젝트의 목표는 브랜드의 환경에 대한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도 글로벌 웹사이트의 톤앤매너와 구조에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었습니다. 랜딩 페이지 개선은 제한된 정보 구조 내에서도 사용자 여정에 맞춘 흐름을 제공하여 브랜드 메시지의 이해도와 몰입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Discover 문제 탐색
Observation
기존 웹사이트는 브랜드 메시지 전달력이 약하며, 사용자에게는 정보 탐색 동선이 길게 느껴짐
Research & Inputs
・기존 Sustainability 콘텐츠의 IA 분석
・경쟁사 지속가능성 페이지 벤치마킹
・글로벌 웹사이트 디자인 톤 & 접근성 가이드 검토
Insight
사용자에게 “브랜드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UX/UI 개선 필요.
Define 문제 정의
Challenge Statements
・어떻게 기존 IA 구조를 변경해야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까?
・출처가 다른 에셋들을 일관성 있는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을까?
・반응형 & 접근성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메세지를 유지할 수 있을까?
Design Goal
지속가능성 메시지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경험으로 구현하는 것.
Design Goal 문제 해결
Reorganized IA
브랜드의 환경에 대한 인식을 효과적으로 전달 하기 위해 사용자 여정을 개선

Visual Curation
지속 가능성 테마에 맞는 이미지 선별과 재가공, 에셋 제작

Clear CTA
사용자 흐름을 유도하는 명확한 Call to action 설계로 인게이지먼트 유도
Responsive Design
디바이스 별 접근성 기준을 만족시키는 디자인 제작
Develop
UX/UI 개선 아이디어와 작업 프로세스
・비주얼 스토리텔링: 지속가능성 테마에 맞고 일관성을 가진 비주얼 에셋 큐레이션 & 리터칭
・유지율을 높이는 인터랙션 설계: 흐름 유도 마이크로 인터랙션(스크롤 리빌, 호버)
・반응형 최적화: Figma 프로토타입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테스트
비주얼 에셋 큐레이션과 UI 디자인, 디자인 시스템 정의
Visual-Centric Layout





Colour system & Typography
Dark Grey#333333
White#FFFFFFF
Warm Grey#F6F3EB
ESG Green#75C66B
Active Red#EA1917
Typography
LG EI Headline
LG EI Txt
Bold
SemiboldMedium
Light
Aa
Highlight
UI 디자인 하이라이트
Design outcome
주요 아웃풋
일관성 있는 디자인 에셋 개발
LG의 새로운 글로벌 브랜드 가이드라인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독자적인 디자인 시스템과 에셋을 개발하여, 반응형 환경에서도 일관된 브랜드 경험과 지속가능성 가치 인식을 강화했습니다.
사용자 흐름에 따른 스토리라인과 인게이지먼트 강화
큐레이션한 이미지와 제작 에셋, 적합한 UI 디자인과 마이크로 인터랙션을 통해 유저 저니에서 인게이지먼트를 강화하고, 흐름을 최적화함으로써, 지속가능성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직관적인 탐색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Result
완성된 랜딩페이지 디자인
・브랜드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시각적으로 임팩트 있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랜딩 페이지 완성
・사용자 플로우가 개선되어 브랜드 메시지 전달력 + 탐색 경험이 향상됨
・반응형 & 접근성 기준에 부합


Retrospective
회고
Q.
이 프로젝트를 통해 무엇을 배웠나요?
A.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단순히 좋은 이미지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Why & What – How – Proof’ 구조에 따라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설계할 때, 전달력이 극대화된다는 점을 체감했습니다. 비주얼 큐레이션이 곧 브랜드 신뢰와 직결된다는 사실도 명확히 인식하게 되었고, 이미지의 톤과 진정성이 일관되지 않으면 메시지가 장식적으로 보일 수 있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특히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리뉴얼 초기 단계에서 영국 디자인 에이전시 Wolff Olins와의 협업을 통해 디자인 얼라인을 맞추고 프로듀싱과 개선 과정을 경험한 것 또한 굉장히 특별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접근성 기준 충족 과정에서의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습니다. 이를 통해 색 대비, 대체 텍스트, 자산 관리의 중요성을 이해했고, 여러 차례 수정과 검증을 반복하며, 디자인 프로세스와 체계적인 에셋 관리 역량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처음 부터 완벽을 목표로 하기보다, 빠른 시도–검증–개선의 반복 과정이 디자인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이라는 점을 실무적으로 배웠습니다.
Appendix
Research Data
글로벌 ESG 캠페인 리서치를 기반으로 Sustainability Movement 제안
100여개의 글로벌 ESG 케이스스터디를 조사하여 최신 지속가능성 트렌드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분석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LG의 관점에서 지속가능성을 ‘인식’에서 ‘실천’으로 확장하는 Sustainability Movement 방향성을 제안했습니다.
From from graphics to digital/web and UI/UX, see the breadth of my creative explorations.
More projects
UX/UI Case Study
Global Sustainability
Explore





















